QUICK MENU

방송콘텐츠 가치정보 분석시스템(RACOI)을 활용한 한국 방송 최근 동향 분석(dteam) > 프로젝트 발표

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

글로벌아이티인재개발원

교육과정 05 30 (디지털컨버전스)자바(JAVA) SW 융합 웹개발...
교육과정 05 25 산업 프로젝트 기반 빅데이터 플랫폼(자바,파이썬)...
교육과정 06 13 자바(JAVA) 기반 융합형 데이터베이스 웹개발 ...
교육과정 06 27 (디지털컨버전스)자바(파이썬)을 활용한 응용SW ...
교육과정 07 11 산업프로젝트 기반 빅데이터 플랫폼(자바,파이썬)개...

프로젝트

  • 진행절차
  • 프로젝트 발표
프로젝트 발표
home > 프로젝트 > 프로젝트 발표
방송콘텐츠 가치정보 분석시스템(RACOI)을 활용한 한국 방송 최근 동향 분석(dteam)
프로젝트 발표날짜 : 2021.08.27

팀장/팀원 팀장:김진수, 팀원:강동희,박요한,홍기현
개요 ICT(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인구 구조가 급격히 변화하며 시장 내 제품과 서비스의 포화로 인한 과잉경쟁으로 체감하는 변화의 속도는 점점 빨라지고 있다. 급격한 환경의 변화는 기업이나 개인에게 위협요인이 되기도 하지만 기회요인이 되기도 한다. 즉, 누가 먼저 변화를 인식하고,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느냐가 중요해짐에 따라 트렌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그리고 소비자 자신도 모르는 잠재니즈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는데 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소비자 또한 트렌드를 예의 주시 해야 했다. 또한, 경쟁 우위를 점하기 위한 차별화된 아이디어가 필요해졌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통한 차별화가 중요해지면서 트렌드 분석 및 예측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었다.
요즘 트렌드를 파악해 방송 제작이나 방송 콘텐츠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서 본 프로젝트를 실시 하였다.
구현기능 2020년도 예능 트렌드 분석

1.연간 성별 top10 프로그램 시청률을 기반으로 트렌드 파악
: 성별로 1년간 어떤 프로그램이 가장 인기 있었는지 살펴본다.

2.연간 성별 top10 데이터를 바탕으로 카테고리별 선호도 파악
: 예능중에서도 버라이어티,트로트,관찰 등 여러 카테고리가 있기 때문에 카테고리 별로 니즈를 파악 하였다.

3. 연간 top10 프로그램에 대한 각 프로그램별 최고시청률 분석 : 어떤 게스트냐 어떤 시간대에 방송했는 것에 따라 시청률 요인에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그 요인과 함께 최고 시청률을 분석해보았다.

4.연령대별 연간 top10 프로그램 시청율 기반 트렌드 분석

:연령대마다 선호하는 것도 다르고,시청자의 관점도 다르다. 그러기 때문에 연령대별로 어떠한 프로그램을 선호 하는 지 알아보았다.

5.연령대별 연간 top10 프로그램 시청율을 바탕으로 카테고리 별 선호도 파악
: 2번과 마찬가지로 어떠한 카테고리가 가장 시청자 니즈에 적합했는지를 파악하였다.

6.연령대별 TV시청률과 타 접근 매체의 상관관계 분석
: 요즘 시청자들은 과거에 시청자 들과 다르게 TV뿐만 아니라 pc, 모바일로도 예능을 많이 소비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설계의 주안점 1, Tv로만 예능을 소비하던 시대에서 모바일이나 pc로 소비하는 시청자들의 데이터도 포함해서 조사

2. 연령별,성별 등 다양한 그룹들의 예능 니즈를 파악할수 있게 함

3. 이미 한번 정제되 있는 방송 통신 위원회 방송콘텐츠 가치정보 분석시스템(RACOI) 데이터를 활용해서 우리가 원하는 결과를 최대한 끌어내기 위해 노력함

601e88c49f1d34d7410e383a3a3cf9ec_1630287301_4678.jpg
601e88c49f1d34d7410e383a3a3cf9ec_1630287301_9418.jpg